이번 포스팅에서는 국민연금 예상수령액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국민연금은 우리나라에서 모든 근로자가 가입하여 노후에 필요한 경제적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사회보장 제도입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향후 어느 정도의 연금을 받을 수 있는지, 그 예상수령액에 대해 알아볼까요?
국민연금은 가입기간 및 월소득에 따라 예상수령액이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납부 기간이 길고 평균 급여가 높으면 예상수령액도 상대적으로 높아집니다.
2023년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표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면 2023년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표를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받은 엑셀 파일을 열어보시면 가입기간 중의 월소득에 따른 연금보험료 및 가입기간(10년부터 40년까지)에 따른 예상수령액을 자세히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우선 좌측 두번째 열의 가입기간중 기준 소득월액평균액을 찾으신 후, 우측에서 연금보험료와 가입기간에 따른 예상수령액을 확인해보세요. 예상수령액은 원/월 단위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가입기간은 연금 가입 시작일부터 60세까지의 기간을 계산하시면 됩니다. 단, 가입기간이 10년 미만일 경우 연금을 수령하실 수 없으며, 임의계속가입자로 전환 후 10년 이상의 가입기간을 채우셔야 합니다.
임의계속가입자 전환 방법에 대한 내용은 아래 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국민연금 함께 나누고 함께 누려요
임의계속가입 및 탈퇴 신청은 방문에 의한 직접 신청은 물론, 우편, 팩스, 본인 확인이 되는 경우 전화 신청도 가능하며,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www.nps.or.kr) 또는 모바일 앱 「내 곁에 국민연금
www.nps.or.kr
예상연금 간단계산 이용하기
국민연금 예상수령액을 확인하는 또다른 방법은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의 예상연금 간단계산 페이지에서 예상연금액을 조회하는 것입니다.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면 예상연금 간단계산 페이지에 접속하실 수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는 현재 납부하고 계산 국민연금의 월 납입보험료를 입력하시면 예상연금액을 간편하게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수령에 대한 정보
1. 국민연금 수령나이
국민연금 수령나이(가입기간 10년 이상인 경우)는 아래 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출생연도 | 국민연금 수령나이 |
1953년~1956년 | 61세 |
1957년~1960년 | 62세 |
1961년~1964년 | 63세 |
1965년~1968년 | 64세 |
1969년 이후 | 65세 |
* 조기수령은 56세부터 60세까지 받으실 수 있으며, 수령금액은 지급을 받기 시작하는 연령부터 5년 간의 소득수준 및 가입기간에 따라 감액됩니다.
2. 국민연금 조기수령 조건
국민연금을 조기에 받으시려면 가입기간이 10년 이상이고, 출생연도별 조기수령 가능한 나이에 도달해야 하며, 소득 업무가 없어야 합니다. 조기수령 후 다시 소득이 발생하는 업무를 하실 경우, 지급이 정지됩니다. 그 후 일반 지급 연령이 되시면 이미 지급한 금액을 뺀 나머지 금액을 받으시게 됩니다.
국민연금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관련글 살펴보기
국민연금 납부액 및 예상수령액 조회하는 방법
국민연금 납부액 및 예상수령액 조회하는 방법 직장인들은 매달 자신이 받는 급여에서 다양한 세금, 보험 및 연금을 납부하게 되며, 4대보험(건강보험, 산재보험, 고용보험, 국민연금) 중 국민연
zzshkorea123.tistory.com
![](https://blog.kakaocdn.net/dn/cgbteh/btsysspvrI5/jHNRTvINZDASA1Wi096qj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g7Iik/btsytWQTHZw/uweoAdGfyppwRjl1aDR8Lk/img.png)
![이미지](https://blog.kakaocdn.net/dn/bJStU9/btsytN7sKVa/Gdb43lDkXTPZwOSSV8xWM1/img.png)
'유익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명치료 거부 신청하는 방법, 신청 기관 및 등록 서류 (0) | 2023.10.16 |
---|---|
온라인으로 보건증 재발급하는 방법(공공보건포털) (0) | 2023.10.16 |
로봇 청소기 추천 - 로보락 S7 Max Ultra의 장단점 및 후기 (0) | 2023.10.15 |
로봇 청소기 추천 - 드리미 L20 Ultra(직배수킷 포함)의 장점 및 단점 (0) | 2023.10.15 |
에어팟 일련번호 조회 및 정품 등록하는 방법 (0) | 2023.10.13 |
운전경력증명서 무료로 발급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3.10.13 |
대만 여행지원금(20만원) 신청방법 및 대상, 사용처 정리 (0) | 2023.10.13 |
등기부등본 인터넷에서 열람 및 발급하는 방법 (0) | 2023.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