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의 업무에 치이며 또 다른 전문성을 키우는 것은 어려운 일이죠. 하지만 미래를 위해 필요한 전문성을 갖추기 위해서는 직업 훈련이 필수입니다. 오늘은 2024년도에 소개되는 "기업 직업 훈련 카드"에 대한 신청 방법과 상세 정보를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1. 기업 직업 훈련 카드란?
기업 직업 훈련 카드는 중소기업 재직자의 직무 능력 향상을 위한 훈련 과정을 지원하는 훈련 바우처를 의미합니다. 기업은 이를 통해 한도 내에서 훈련 여건 및 수요에 맞게 훈련을 실시할 수 있습니다.
- 주요내용: 기업 규모에 따라 500만원부터 납부한 고용보험료의 240%까지 훈련 바우처 지원(자부담 10% 면제)
- 지원 대상: 우선 지원 대상 기업 중 훈련 사각에 있는 기업 13천개소
- 최근 3년(2021~2023)간 사업주 훈련(https://hrd.bhedu.kr/rtSub02/index02.html)에 참여한 이력이 없는 기업
- 상시 근로자 수가 50인 미만인 중소기업(상시 근루자 수는 신청일 기준 고용보험 데이터베이스(https://www.keis.or.kr/user/bbs/main/302/2117/bbsDataList.do)에서 확인되는 인원으로 산정됩니다)
- 선정방식: 훈련 바우처 발급 요건을 갖춘 기업에 선착순으로 발급
2. 기업 직업 훈련 카드 신청 방법
2024년도 기업 직업 훈련 카드를 신청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아래는 상세한 신청 절차입니다.
- 신청기간: 2024년 1월 11일 목요일 10:00~
- 신청방법:
- HRD4U 홈페이지(hrd4u.or.kr)에 접속
- 로그인 후 통합접수 클릭
- 기업직업훈련카드 발급 신청 진행
- 스마트폰 인증(대표자 또는 직원에 한함)
- 사업장 관리번호(11자리) 입력(입력 오류 시 문의: 052-714-8288)
- 발급 여부 확인 및 인증 후 신청 완료
- 훈련 과정 검색: HRD-NET 상단의 훈련 과정 클릭 > 기업 훈련 과정 > 사업주 훈련 지원
- 지원 한도 확인: HRD-NET 기업회원 가입(법인 공인인증서 필요)
3. 주의사항 및 자주 하는 질문
발급 대상 여부 조회하기: 신청 화면에서 정보 입력 후 인증 및 발급 여부 확인 가능합니다.
지원 한도 확인: HRD-NET 기업회원 가입(법인 공인인증서 필요)
주의 사항: 기업직업훈련카드는 법정의무교육과 직무법정교육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자주 하는 질문 확인 방법: 공단 홈페이지 공지사항에서 관련 자료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마무리
2024년 기업 직업 훈련 카드를 통해 여러분의 기존 역량을 높이고 새로운 전문성을 개발해보세요. 간단한 신청 절차를 통해 다양한 훈련과정을 무료로 이수할 수 있습니다. 미래를 위한 첫 걸음을 함께 시작해봅시다. 감사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고용노동부 국민내일배움카드 온라인 신청방법 및 발급대상
고용노동부가 제공하는 국민내일배움카드는 다양한 교육 서비스를 국비로 지원해주는 카드이며, 취준생 그리고 업무 역량을 향상시키고 싶은 직장인들에겐 '필수 아이템'이라고 할 수 있습니
zzshkorea123.tistory.com
고령자 고용지원금 신청방법 및 지원대상
고령자를 계속 고용하고자 하는 기업은 고령자 고용지원금을 신청하여 2년간 매 분기별 30만원을 지원 받으실 수 있습니다(분기별 지원대상 근로자 수 x 월 30만원 x 최대 2년). 정부는 급격한 고
zzshkorea123.tistory.com
건강보험 자격득실확인서 발급하는 2가지 방법
건강보험 자격득실확인서 발급하는 2가지 방법 건강보험 자격득실확인서란 건강보험의 가입자 또는 가입자였던 사람의 건강보험 자격득실 내역을 확인할 수 있는 증명서이며, 주로 근로소득자
zzshkorea123.tistory.com
두루누리 신청방법 및 조회 방법 알아보기 - 리차슨의 Voyage
현재의 경제적인 어려움 속에서 두루누리의 사회보험 지원 사업이 더욱 주목받고 있습니다. 새로운 해, 2024년에는 두루누리가 더 많은 이들에게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 대상 확대 정책을 시행한
richard100warp.co.kr
2024 긴급복지 생계지원금: 혜택, 대상, 신청 방법 - 리차슨의 Voyage
2024 긴급복지 생계지원금은 상시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청은 시군구청 또는 읍면동 주민센터를 직접 방문하거나, 보건복지상담센터(129)에 전화하셔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필요한 서류로는
richard100warp.co.kr



'유익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보육교사 장기미종사자교육 신청 및 수료증 발급 안내 (0) | 2024.01.16 |
---|---|
마이에듀 교사자람 보육교직원 온라인 보수교육 안내 (0) | 2024.01.16 |
해외축구 무료중계 2023-2024 시즌 토트넘 및 기타 플랫폼 안내 (0) | 2024.01.15 |
2023(2024) AFC U-23 카타르 아시안컵 일정 및 중계 바로가기 (0) | 2024.01.13 |
키움증권 고객센터 홈페이지, 전화번호 및 ARS 안내 (0) | 2024.01.13 |
신한은행 고객센터 이용방법: 홈페이지, 전화번호, 영업시간, 업무 안내 (0) | 2024.01.12 |
웨이브 요금제 비교 및 무료시청 방법 (0) | 2024.01.12 |
에이닷을 활용한 아이폰 통화 녹음 사용법 (0) | 2024.01.12 |